해외 판매를 위한 온라인 스토어(쇼핑몰) 플랫폼 선택 가이드: 까페24(Cafe24) vs 쇼피파이(Shopify)

카페24(Cafe24 또는 까페24) 홈페이지의 "지금🔥Hot 한 그 브랜드도 카페24!"에 소개된 논픽션, YG SELECT, SMTOWN, 안다르, 바디럽, 쿤달, 메디큐브의 해외 스토어는 사실 쇼피파이(Shopify)로 구축 되어 있습니다. 카페24에서도 글로벌 스토어를 지원한다고 하는데, 이 브랜드들은 왜 쇼피파이라는 별도의 플랫폼으로 운영을 하고 있을까요?

잠시 함께 생각해볼까요? 혹시 카페24의 글로벌 스토어 성공 사례가 떠오르시나요? 아마 쉽게 생각나지 않을 겁니다. 만약 있었다면 카페24에서 적극적으로 소개했겠죠. 그렇다면 왜 카페24 해외 성공 사례가 없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저는 2017년부터 쇼피파이 플랫폼을 통해 글로벌 스토어 구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삼백씨비티(300cbt) 이재익 입니다. 

저희가 진행하는 구축 미팅의 70%는 국내에서 카페24로 국내 스토어를 운영하다가, 해외 스토어는 별도로 쇼피파이를 선택하는 경우이고, 20%는 아마존 등 마켓플레이스를 운영하다가 한계를 체감하고 자사몰을 쇼피파이로 새롭게 준비하는 경우입니다.

지금까지 글로벌 스토어 구축 미팅을 1,000번 이상 진행하면서, 실제로 실무자분들이 가장 많이 물어보셨던 질문이 바로 카페24와 쇼피파이의 차이점이었습니다. 

분명 카페24는 국내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빌더입니다. 무엇보다도 무료로 시작할 수 있고, 국내 이커머스 환경과 요구사항에 맞게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기 때문에 국내 비즈니스에는 큰 불편이 없습니다.  

하지만 카페24로 해외 판매까지 고려하신다면 반드시 점검해야 할 이슈들이 있습니다. 이는 카페24뿐 아니라 메이크샵, NHN고도몰, 아임웹, 식스샵 같은 다른 국내 빌더에도 공통적으로 해당됩니다.

이 글은 삼백씨비티(300cbt)가 수많은 브랜드의 북미, 일본, 글로벌 타깃 스토어를 직접 구축하면서 쌓은 경험을 바탕으로, 카페24와 쇼피파이를 30개 항목에 걸쳐 비교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글로벌 진출을 고민하거나 쇼피파이 도입을 검토 중인 브랜드 실무자분들께 실질적인 판단 기준이 되길 바랍니다.

*이 글은 2025년 6월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각 플랫폼의 일부 기능은 업데이트될 수 있습니다.

1. 주요 타깃 시장

쇼피파이와 카페24의 가장 큰 차이는 타깃 시장에 있습니다.

카페24는 한국에서(만) 사용하는 UX/UI를 기반으로 게시판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비회원 주문 조회, 가입 시 약관 동의 등 한국형 프론트엔드와 내부 개발한 모든 기능이 카페24를 통한 모든 사이트에 일괄 적용되기 때문에 운영자가 사용하지 않는 기능도 모두 어드민(백엔드)에 노출되어 관리 화면이 복잡해 보일 수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한국형 빌더에 URL만 추가해서 일부 언어, 일부 해외 결제만 제공하는 방식이라 해외 시장을 타깃으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반면, 쇼피파이는 글로벌 시장에 최적화된 플랫폼입니다.

어느 국가의 머천트(셀러)라도 원하는 국가를 타깃으로 쉽게 운영할 수 있고, 현지화(로컬라이징)와 외부 시스템 연동도 자유롭습니다.

북미(영어권)를 중심으로 시작해 현재는 전 세계 175개국 이상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영어를 기본 언어(현지어 설정 가능)로 설계되어 있어 미국, 유럽, 동남아, 중동 등 다양한 지역에서 쇼피파이를 통해 안정적인 글로벌 판매가 가능합니다.

백엔드(운영자 화면) 언어도 사용자별로 현지어로 설정할 수 있어 해외 스태프와 협업이 쉽고, 스태프별 관리 권한 설정도 가능합니다.

또한 글로벌 결제, 배송, 환율, 다국어 기능이 탄탄하게 구축되어 있어, 글로벌 시장 진출을 고려하는 브랜드라면 가장 추천하는 스토어 빌더입니다.

2. 사용 언어 환경

온라인 스토어 운영에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바로 언어입니다. 

운영자가 어떤 언어로 사이트를 관리할 수 있는지, 고객은 어떤 언어로 쇼핑할 수 있는지가 플랫폼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치죠.

카페24는 한국어 기반의 플랫폼으로, 관리자 화면부터 고객 지원, 공식 문서까지 모두 한국어로 제공됩니다. 따라서 국내 스토어 운영자나 창업 초보자도 부담 없이 쉽게 접근할 수 있죠. 다국어 기능도 일부 지원되지만, 기본 구조는 한국어 중심으로 돌아갑니다.

반면 쇼피파이는 기본적으로 영어를 중심으로 설계된 글로벌 플랫폼입니다. 관리자 화면, 공식 문서, 앱 설명까지 모두 영어가 기본이지만, 최근에는 한국어를 포함한 다양한 언어로 번역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또한 쇼피파이 마켓(Shopify Markets)과 같은 기능을 활용하면 스토어 자체를 다국어로 운영할 수 있어 글로벌 고객을 대상으로 판매하고자 하는 브랜드에 매우 유리합니다.

3. 관리 화면 UI

운영자가 매일 마주하는 공간이 바로 관리자 화면입니다.  

아무리 다양한 기능이 있어도 이를 쉽게 찾고 설정할 수 없다면 실무에서는 불편함이 클 수밖에 없죠.

카페24는 국내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춘 UI를 제공합니다. 

게시판, 상품 등록, 프로모션 설정 등 익숙한 용어와 메뉴 구성이 잘 정리되어 있어 기존 국내 스토어 플랫폼에 익숙한 운영자라면 큰 이질감 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메뉴 항목이 많은 만큼 일부 초보자에게는 다소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고, 해외 직원이 사용하기에는 난이도가 높은 구조입니다.

쇼피파이는 글로벌 SaaS답게 직관적이고 미니멀한 UI를 제공합니다.  

불필요한 정보나 복잡한 메뉴 없이 핵심 기능 위주로 구성되어 있어 처음 사용하는 운영자도 빠르게 적응할 수 있습니다. 또한 모바일 앱에서도 거의 모든 관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최적화되어 있어, 언제 어디서나 관리가 가능하고 팀원 간 협업도 원활합니다.

4. 스토어 구축 기간 

카페24는 무료로 제공되는 템플릿을 활용하면 별도의 디자인 없이도 기본적인 스토어를 빠르게 구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스토어 구성 요소가 많고 게시판, 회원 관리 등 한국형 기능들이 기본으로 포함되기 때문에, 완성도 있는 구조로 다듬으려면 추가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반면 쇼피파이는 계정 생성 → 테마 선택 → 제품 등록 → 도메인 연결까지, 기본 세팅이라면 1시간 이내에도 스토어를 오픈할 수 있습니다.  

글로벌 SaaS 플랫폼답게 간결한 초기 설정과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덕분에 누구나 빠르게 론칭이 가능하죠. 특히 스타트업이나 테스트 판매를 시작하려는 팀에게는 더할 나위 없이 최적의 선택입니다.

5. 커스터마이징 자유도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강할수록 스토어에도 ‘그 브랜드만의 분위기’를 담고 싶은 법이죠.

이때 중요한 것은 얼마나 자유롭게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한지입니다.

카페24는 HTML 구조를 수정할 수 있는 권한을 제공하지만, 전체 구조가 매우 복잡하게 제작되어 있어 템플릿 분기나 include 구조에 익숙하지 않다면 진입 장벽이 꽤 높을 수 있습니다. 또한 디자인센터를 통해 유료 템플릿을 활용하더라도 완성도를 높이려면 결국 외주 개발자의 도움이 필요한 경우가 많죠.

반면 쇼피파이는 커스터마이징 측면에서 매우 유연한 플랫폼입니다.

리퀴드(Liquid)라는 자체 템플릿 언어를 기반으로 HTML, CSS, JS까지 수정할 수 있어 프론트엔드 개발자에게는 자유도가 상당히 높습니다. 특히 ‘섹션 기반 에디터’가 도입되면서 운영자도 코드 수정 없이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많은 부분을 쉽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6. 서버/호스팅 관리

스토어 운영자 입장에서 가장 피하고 싶은 이슈 중 하나는 바로 서버 문제입니다.  

트래픽 폭주로 사이트가 느려지거나 서버가 다운되어 판매 기회를 놓치는 일은 매우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호스팅과 서버 관리가 얼마나 안정적인지는 매우 중요한 선택 기준입니다.

카페24와 쇼피파이 모두 SaaS(Software as a Service) 기반 플랫폼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직접 서버를 구축하거나 유지보수할 필요가 없고, 플랫폼 측에서 모든 인프라가 자동으로 관리됩니다.

카페24는 자체적으로 관리되는 SaaS 구조로 운영됩니다. 별도의 서버 계약 없이 사이트 개설과 동시에 호스팅이 제공되며, 국내 트래픽 중심의 서비스에는 안정적입니다. 하지만 해외 트래픽은 어떨까요?

쇼피파이는 글로벌 CDN(Content Delivery Network) 기반 인프라를 사용하여 국경 없는 안정성과 확장성을 보장합니다. 

스토어 트래픽이 급증해도 자동으로 대응하므로 별도로 서버 용량을 신경 쓸 필요가 없습니다. 이런 안정성 덕분에 글로벌 DTC 브랜드들이 쇼피파이를 믿고 선택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또한 SSL 인증서도 도메인 연결 시 자동으로 설정되어, 방문자 데이터 암호화와 안전한 접속 환경을 제공합니다.

*SSL 인증서는 사이트와 방문자 간 데이터 암호화를 통해 보안을 강화하며, 브라우저 주소창에 https://와 자물쇠 아이콘을 표시합니다.

7. 트래픽 대응

이벤트나 캠페인, 인플루언서 노출, 광고 퍼포먼스가 잘 맞아떨어지면 스토어에는 일시적으로 폭발적인 트래픽이 몰릴 수 있습니다.  

이때 사이트가 느려지거나 다운된다면 단순한 불편을 넘어 매출 손실과 브랜드 이미지 훼손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저희 클라이언트 중 한 담당자분이 프로젝트 종료 시점에 이렇게 물으셨던 적이 있습니다.  

"쇼피파이가 서버가 다운되면 어디로 전화하면 되나요?"

그분은 카페24에서 세일 프로모션을 진행할 때마다 사이트가 반드시 다운되었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카페24는 SaaS 기반으로 기본적인 트래픽 처리는 자동으로 수행되지만, 대형 이벤트나 외부 링크 유입이 많을 경우 동시 접속자가 폭증하면 사이트가 실제로 다운되는 사례가 종종 발생합니다.

반면 글로벌 SaaS 플랫폼인 쇼피파이는 CDN 기반 인프라를 활용하여 수십만 건의 실시간 접속도 무리 없이 처리할 수 있습니다. 전 세계 수백만 개의 스토어가 동시에 운영되고 있어, 구조 자체가 고트래픽 상황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실제로 블랙프라이데이 같은 초고트래픽 시즌에도 쇼피파이는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합니다. 

또한 서버 상태를 Shopify Status 페이지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더욱 신뢰할 수 있습니다.

8. 디자인 템플릿 다양성

스토어의 첫인상은 디자인에서 결정됩니다.  

어떤 템플릿을 얼마나 쉽게,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지도 플랫폼 선택의 중요한 요소입니다.

카페24는 디자인센터를 통해 다양한 유·무료 템플릿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다만 주 사용자가 한국 타깃의 스토어 운영자이기 때문에 대부분 한국형 스토어 스타일에 맞춰져 있습니다. 또한 유료 템플릿의 경우 제작자에 따라 퀄리티 편차가 크고, 일부는 모바일 반응형이 별도 유료 옵션인 경우도 있어 구매 전에 꼼꼼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쇼피파이는 수십 개의 기본 테마(무료/유료)를 제공하며, 쇼피파이 테마 스토어 외에도 다양한 마켓플레이스(ThemeForest 등)를 통해 수천 개의 템플릿(테마)을 구입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모든 테마는 기본적으로 반응형이며, ‘섹션 기반 편집’을 지원해 코드 없이도 대부분의 레이아웃을 쉽게 조정할 수 있습니다. 테마는 전반적으로 단순하고 글로벌 감각이 느껴지는 미니멀한 디자인이 많아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살리기에 좋습니다.

9. 반응형 웹 지원

요즘 고객의 상당수가 모바일에서 쇼핑을 시작합니다.  

특히 SNS 유입이 많아질수록 데스크탑보다 모바일 비중이 훨씬 높아지죠. 따라서 모든 기기에서 깔끔하게 동작하는 반응형 웹 지원 여부는 선택이 아닌 필수 요소입니다.

카페24는 일부 무료 템플릿이나 오래된 디자인의 경우 모바일 반응형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경우 데스크탑용과 모바일용 디자인을 별도로 구성하거나 유료 반응형 옵션을 구매해야 하므로 운영 효율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PC에서 구글 등 포털에서 검색했는데 모바일 버전의 사이트로 바로 이동되는 경험은 누구나 한 번쯤 겪어보셨을 겁니다.

반면 쇼피파이는 기본 제공되는 모든 테마가 모바일 반응형(Responsive Web Design)을 완벽하게 지원합니다. 

운영자는 데스크탑, 태블릿, 모바일 화면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편집할 수 있으며, 모든 테마는 모바일 환경에서도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자연스럽게 표현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별도의 추가 설정 없이 PC와 모바일에 완벽 대응하는 것이 기본값이라는 점에서 운영자 입장에서 매우 편리하죠.

10. 앱 생태계

브랜드별로 목표하는 타깃과 운영에 필요한 기능은 모두 다릅니다.  

따라서 원하는 기능을 쉽게 구현할 수 있는 앱 생태계는 운영 효율성을 높이는 데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아이폰의 앱스토어처럼 별도의 개발 없이 필요한 기능을 쉽게 다운로드해 설치하고 바로 운영할 수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카페24는 대부분의 기능을 기본 내장 또는 외부 연동 형태로 제공합니다.  

카페24 스토어’라는 자체 앱스토어가 있긴 하지만, 주 사용자층이 한국 스토어 운영자이다 보니 앱 역시 한국 스토어에 특화된 기능이 대부분입니다.

반면 쇼피파이는 글로벌 SaaS 플랫폼답게 약 10,000개 이상의 앱이 등록된 앱 스토어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리뷰, 포인트, 리워드, 마케팅, 고객 관리, 번역, 구독 등 다양한 기능을 설치만으로 즉시 사용할 수 있고, 대부분이 노코드 설치와 UI 통합형이라 별도 개발 없이 빠르게 반영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앱 간 연동도 원활하여, 예를 들어 리뷰 앱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이메일 마케팅 앱과 연결하는 식의 자동화 연계도 손쉽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삼백씨비티는 스토어 구축 시 운영 효율성과 자동화를 위해 유·무료 앱 15종 설치 및 최적화 서비스를 함께 제공합니다.

11. 마켓플레이스 연동

단순히 자사 스토어 하나만 잘 운영하는 시대는 지났습니다.  

이제는 구글 쇼핑, 인스타그램 샵, 틱톡 샵 등 외부 채널과 아마존, 이베이 등 글로벌 마켓플레이스를 연동해 더 넓은 고객 접점을 확보하는 것이 핵심 전략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마켓플레이스가 다양해짐에 따라 온라인 스토어(자사몰)와 얼마나 잘 연결되는지는 실무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특히 재고 및 배송 처리 등은 반드시 통합 관리가 필요한 부분입니다.

카페24는 국내 마켓플레이스 연동에 특화된 플랫폼입니다.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쿠팡, 11번가, G마켓, 위메프, 지그재그 등 주요 국내 판매 채널과의 연동이 가능하며, 자체 통합 툴인 ‘마켓플러스’를 활용하면 여러 채널의 상품을 한 번에 등록하고 주문을 통합 관리할 수 있습니다.

쇼피파이는 글로벌 플랫폼답게 Amazon, eBay, TikTok Shop, Google Shopping, Walmart, Etsy, Target Plus 등 해외 주요 채널과의 연동을 공식적으로 지원합니다.  

각 채널별 앱을 설치하면 간편하게 상품 연동과 주문 수집이 가능하며, Meta, Google, TikTok 연동은 쇼피파이 내부에서 거의 원클릭 수준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YouTube Shopping도 통합되어 콘텐츠 기반 커머스 확장도 빠르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한국 브랜드가 많이 입점해 있는 라쿠텐, Qoo10, Shopee, Lazada 등도 앱이나 연동 OMS를 통해 통합 관리할 수 있습니다.

12. 결제 수단 연동

구매 퍼널 중 가장 마지막 단계는 결제(체크아웃) 페이지입니다.  

고객이 결제 단계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려면, 편리하고 익숙한 결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카페24는 국내 PG사를 기본으로 하고, PayPal, Eximbay, Paymentwall 등 일부 해외 PG 연동도 지원합니다.

쇼피파이는 자체 결제 시스템인 쇼피파이 페이먼츠(Shopify Payments)를 중심으로 전 세계 다양한 결제 수단을 제공합니다. 신용카드, Apple Pay, Google Pay, Shop Pay, PayPal 등은 기본으로 제공되며, 국가별 결제 게이트웨이와도 연동할 수 있습니다.

다만 한국 법인의 경우 쇼피파이 페이먼츠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국내에서 운영하려면 KG이니시스, 포트원 등 외부 PG사와 별도 계약을 맺고 앱으로 연동해야 합니다.  

*참고로 쇼피파이 페이먼츠가 아닌 서드파티 결제를 사용하는 경우, 플랜별로 거래 수수료(Transaction Fee)가 별도로 청구됩니다. 

13. 결제 수수료 구조

스토어를 운영할 때 관리해야 할 핵심 지표 중 하나가 바로 결제 수수료입니다.  

고객이 결제할 때마다 발생하는 이 비용은 매출이 늘어날수록 손익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플랫폼 선택 시 월 사용료 외에 어떤 결제 수수료가 발생하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카페24는 기본적으로 플랫폼 이용료가 무료이며, 결제 수수료는 PG사와 별도로 계약하여 정해집니다.  

보통 카드 수수료는 약 2.0%~3.5% 수준이며,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토스 등 간편결제 수수료는 더 높거나 별도 협의가 필요합니다. 한 번 정해진 수수료는 매출이 증가해도 카페24를 사용하는 동안에는 변동 없이 유지됩니다.

쇼피파이는 기본적으로 월 구독 요금제와 거래 수수료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요금제는 Basic($25), Grow($65), Advanced($399) 등 단계별로 나뉘며, 쇼피파이 페이먼츠를 이용할 경우 카드 수수료는 약 2.4~2.9%입니다. 단, 쇼피파이 페이먼츠를 사용하지 않고 외부 PG사를 이용하면 추가로 0.5~2%의 거래 수수료가 별도로 부과됩니다.

예상 매출 규모에 따라 PG사별 수수료 조율이 가능하며, 특히 월 매출이 약 4억 원 이상이라면 쇼피파이 플러스(Shopify Plus)로 전환해 거래 수수료를 절감하고 더욱 안정적으로 스케일업할 수 있습니다.

14. 정산 주기

스토어 운영에서 정산 주기는 곧 운영 자금의 회전 속도와 직결됩니다.  

매출이 발생한 후 실제로 돈이 들어오는 시점이 늦어지면, 마케팅, 재고 확보, 인건비 집행이 어려워질 수 있으므로 반드시 사전에 확인해야 합니다.

카페24는 까페24페이먼트 이용할 경우 D+5일을 지원 하며, 그외 결제는 PG 선정에 따라 달라집니다.

쇼피파이는 자체 결제 시스템인 쇼피파이 페이먼츠를 사용하는 국가에서는 영업일 기준 2~5일 내 정산이 가능합니다.  

페이팔의 경우 고객이 결제하면 페이팔 밸런스에 즉시 금액이 추가되기 때문에 별도의 정산 대기 기간이 없으며, 출금 요청 시 2~3일 후 회사 통장으로 입금됩니다.  

또한 환율 상황에 따라 유리한 시점에 출금을 진행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입니다.

15. 글로벌 판매 기능

글로벌 시장을 타겟으로 한다면 스토어는 반드시 다국어, 다통화, 환율, 세금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어야 합니다.  

단순히 해외 배송이 가능하다고 해서 글로벌 운영이 충분한 것은 아닙니다.

카페24는 기본적으로 해외 배송과 다국어 설정 기능은 제공하지만, 국가별 맞춤 정책 설정이나 자동 로컬라이징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반면 쇼피파이는 글로벌 판매를 위한 기능이 매우 강력합니다.  

쇼피파이 마켓’을 활용하면 하나의 관리자 화면에서 국가별 언어, 통화, 세금, 배송 정책을 설정할 수 있고, 고객의 접속 위치에 따라 자동으로 맞춤 콘텐츠를 노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실시간 환율 변환, 번역 앱, 글로벌 채널 연동 등 다양한 로컬라이징 기능을 별도의 개발 없이 설정할 수 있습니다.

16. 배송 시스템 연동

배송은 스토어 운영에서 마지막 단계이지만 가장 중요한 고객 경험 중 하나입니다.  

구매 후 얼마나 빠르고 정확하게 도착하느냐에 따라 고객 만족도와 재구매율이 결정됩니다.

카페24는 국내 택배사 연동은 비교적 용이하지만, 글로벌 풀필먼트 연계는 제한적입니다.

반면 쇼피파이는 전 세계를 대상으로 운영되는 만큼 DHL, UPS, FedEx 같은 글로벌 배송사와의 연동이 쉽고, ShipStation, Easyship, 와이즈커머스 크로스보더(WiseCommerce Cross-border) 같은 풀필먼트 앱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17. 고객 리뷰 시스템

고객 리뷰는 제품의 신뢰도를 높이고 구매 전 망설임을 줄여주는 핵심 콘텐츠입니다.  

특히 리뷰 수와 품질은 전환율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에 리뷰 시스템의 활용도는 매우 중요합니다.

카페24는 기본 리뷰 기능을 제공하지만 앱을 통한 다양한 기능 확장과 자동화에는 다소 한계가 있습니다.

쇼피파이에서는 Judge.me, Yotpo, Loox 등 다양한 리뷰 앱을 설치해 원하는 형태로 리뷰 기능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포토 리뷰, 평점 필터, 리뷰 요청 자동화 등 다양한 기능을 앱을 통해 구현할 수 있으며, 브랜드 이미지에 맞게 디자인 커스터마이징도 가능합니다.  

삼백씨비티는 스토어 구축 시 아마존 등 마켓플레이스에 등록된 기존 리뷰를 쇼피파이로 안전하게 마이그레이션하는 서비스도 함께 제공하고 있습니다.

18. 멤버십/포인트 시스템

단골 고객을 유지하고 재구매를 유도하기 위해 많은 브랜드가 포인트와 멤버십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이를 효율적으로 설정하고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갖춰져 있는지는 장기적인 운영 전략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카페24는 기본적으로 적립금과 쿠폰 기능을 제공하지만, 포인트를 활용한 멤버십 등급 관리나 맞춤형 리워드 프로그램 구축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쇼피파이는 기본 기능에 포인트 시스템은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Joy Loyalty, Smile.io 같은 앱을 통해 멤버십 등급, 포인트 적립, 생일 혜택, 소셜 공유, 리뷰 보상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손쉽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앱 간 연동이 유연해 마케팅 자동화와 결합하여 정교한 고객 유지 전략을 펼치기에 유리합니다.

19. 할인/쿠폰 기능

할인과 쿠폰은 고객의 구매 결정을 유도하는 가장 직접적인 수단입니다.  

운영자가 얼마나 유연하게 할인 조건을 설정하고 캠페인에 맞게 변형할 수 있는지가 매출 상승과 재구매 유도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카페24도 기본적으로 할인과 쿠폰 기능을 제공하지만, 조건 설정의 유연성이나 자동화 적용에는 다소 제한이 있습니다.

쇼피파이는 관리자 내 Discounts 메뉴를 통해 정률 할인, 정액 할인, 특정 조건부 할인, 자동 적용 할인 등 다양한 프로모션을 손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또한 앱을 활용하면 구매 횟수나 고객 그룹에 따른 맞춤 할인도 가능하며, 쇼피파이 플로우(Flow)와 연동해 할인 프로세스를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20. 정기구독

정기구독은 한 번의 유입을 장기적인 매출로 연결할 수 있는 모델로, 특히 식품, 뷰티, 생활용품처럼 반복 구매가 많은 제품군에서는 구독 기능이 곧 비즈니스의 핵심이 되기도 합니다.

카페24는 기본적으로 정기구독 기능을 제공하지 않아 별도의 커스터마이징 개발이나 외부 솔루션 연동이 필요합니다.

쇼피파이는 자체 구독 앱인 ‘쇼피파이 서브스크립션’을 사용할 수 있으며, 더 고도화된 기능이 필요할 경우 Appstle, Recharge 같은 전용 구독 앱을 통해 정기 결제, 배송 주기 설정, 구독 할인 등 다양한 기능을 쉽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또한 구독 변경, 일시정지, 해지도 고객이 직접 처리할 수 있어 운영 효율성이 높습니다.

21. B2B 운영 기능

소비자 대상의 B2C 판매 외에도 도매나 기업 고객을 대상으로 한 B2B 판매를 함께 운영하는 브랜드가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때는 가격 차등, 최소 주문 수량, 견적 요청 등 일반 스토어와는 다른 기능이 필요합니다.

카페24는 기본적으로 B2B 전용 기능이 제한적이며, 별도의 커스터마이징 개발이나 외부 솔루션 연동이 필요합니다.

쇼피파이는 쇼피파이 플러스 플랜에서 전문 B2B 기능을 지원하며, 하나의 스토어에서 B2B와 B2C를 동시에 운영할 수 있습니다.  또한 플러스 플랜이 아니더라도 서드파티 앱을 통해 B2B 전용 기능을 추가해 활용할 수 있습니다.

22. SEO 최적화

아무리 좋은 제품이라도 검색 결과에 노출되지 않으면 고객에게 도달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스토어 운영에서 검색엔진 최적화(SEO)는 고객 유입을 위한 핵심 전략이 됩니다. 따라서 스토어 구축 빌더를 선택할 때 플랫폼이 SEO 친화적인 구조를 얼마나 잘 지원하는지 꼭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카페24도 메타태그, 이미지 대체 텍스트 등의 입력은 가능하지만, URL 구조나 코드 기반의 SEO 최적화는 매우 제한적입니다.  

또한 구글 리치 스니펫(Google Rich Snippet)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해외 구글 검색 환경에서는 더욱 취약할 수밖에 없습니다.

쇼피파이는 제품, 컬렉션, 페이지, 블로그 등 모든 콘텐츠에 대해 URL, 메타 타이틀, 설명, 알트(alt) 태그, 자동 sitemap.xml, robots.txt 등 구조화된 SEO 설정이 가능합니다.  

또한 SEO 앱이나 구조화 데이터 마크업을 통해 Google 리치 결과에도 노출될 수 있도록 세밀한 최적화가 가능한 플랫폼입니다.

23. 블로그 기능

스토어에 방문하는 고객은 단순히 제품만 보는 것이 아니라, 브랜드 철학이나 사용 팁과 같은 콘텐츠에도 큰 관심을 가집니다.  

이런 정보는 브랜드 신뢰도를 높이고 자연 검색 유입을 끌어올리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블로그는 스토어 운영에서 핵심 콘텐츠 채널이 됩니다.

카페24는 블로그 기능을 별도로 제공하지 않으며, 한국에서만 주로 사용하는 고객 커뮤니케이션 방식인 게시판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반면 쇼피파이는 블로그 기능이 기본 탑재되어 있어 제품 페이지 외에도 브랜드 뉴스, 사용 가이드, 리뷰 콘텐츠 등을 카테고리별로 정리해 운영할 수 있습니다.  

또한 SEO 최적화 설정이 가능해 콘텐츠 마케팅 채널로서 활용도가 매우 높습니다.

24. 마케팅 연동

스토어의 성장은 결국 마케팅이 좌우합니다.  

광고, 이메일, SMS, 리타겟팅 등 다양한 채널과 플랫폼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야 신규 유입과 재방문을 동시에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카페24는 네이버 광고, 카카오톡 채널, 문자 발송, 알림톡 등 국내 마케팅 채널과의 연동이 잘 되어 있습니다. 간편하게 알림을 발송하거나 광고를 연동할 수 있어 국내 시장에 최적화된 마케팅 운영이 가능하지만, 글로벌 플랫폼과의 연동은 매우 제한적입니다.

쇼피파이는 Google Ads, Meta(Facebook/Instagram), TikTok, Omnisend, Klaviyo, Mailchimp 등 글로벌 마케팅 툴과의 연동이 가능하며, 앱 설치만으로 픽셀 설정, 전환 추적, 고객 세분화, 자동 이메일 캠페인까지 손쉽게 실행할 수 있어 디지털 마케팅 자동화 구조를 구축하기에 매우 유리합니다.

25. 광고 픽셀 설정

광고 퍼포먼스를 제대로 분석하려면 픽셀(Pixel) 연동은 필수입니다.  

픽셀은 고객 행동 데이터를 수집해 전환을 추적하고, 리타겟팅 광고의 정밀도를 높이는 핵심 도구입니다. 스토어가 이를 얼마나 쉽게 연동할 수 있는지는 마케터 입장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카페24는 일부 광고 픽셀 연동 기능을 제공하지만, 플랫폼별 고급 설정과 세부 관리에는 다소 제약이 있습니다.

쇼피파이는 Meta 픽셀, TikTok 픽셀, Google 태그 관리자(GTM) 등 글로벌 플랫폼과의 픽셀 연동이 매우 간편한 구조입니다.  

관리자에서 픽셀 ID만 입력하면 자동으로 설치되며, 앱을 통해 고급 이벤트 추적도 손쉽게 설정할 수 있어 마케팅 자동화 및 성과 분석이 용이합니다.

26. 이메일 마케팅

첫 방문에 구매하지 않은 고객도, 이메일 한 통이면 다시 돌아와 결제를 완료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메일 마케팅은 고객 유지와 재구매 유도를 위한 핵심 전략 중 하나입니다. 자동화, 발송 타이밍, 콘텐츠 퀄리티까지 세밀하게 설계할 수 있는 플랫폼일수록 더욱 강력한 마케팅이 가능합니다.

카페24는 자체 SMS/이메일 발송 도구인 자동 알림 서비스가 존재합니다. 

자동화 앱의 기능이나 고객 세그먼트별 타겟 마케팅은 상대적으로 단순하며, 정교한 시나리오 설계는 외부 마케팅 툴 연동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쇼피파이는 기본적으로 ‘쇼피파이 이메일’을 제공하며, Omnisend, Klaviyo, Mailchimp 등 글로벌 마케팅 자동화 앱과도 쉽게 연동됩니다.  

고객 세분화, 장바구니 이탈 메일, 생일 쿠폰 발송 등 세밀한 자동화 캠페인을 시나리오별로 구성할 수 있어 빠른 성장을 원하는 브랜드에 적합합니다.

27. 관리 권한 설정

운영 인원이 많아질수록 각자 맡은 역할에 맞게 관리자 권한을 세분화하는 기능은 매우 중요합니다.  

휴먼 에러나 정보 노출을 방지하고 팀 단위 운영 효율을 높이기 위해 필수적인 요소이기도 합니다.

카페24는 기본적인 관리자 권한 부여는 가능하지만 세부 항목별 접근 권한 설정은 제한적입니다.

쇼피파이는 사용자별로 제품, 주문, 마케팅, 앱, 보고서, 고객 등 세부 항목별 접근 권한을 정교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특히 쇼피파이 플러스 플랜에서는 직원 계정을 무제한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권한 승인 및 액세스 로그 관리 기능을 통해 대기업에서도 최적화된 운영 환경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쇼피파이 플러스 조직 관리 기능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8.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새로운 플랫폼으로 이전하거나 기존 스토어를 리뉴얼할 때 가장 중요한 작업 중 하나가 바로 데이터 마이그레이션입니다.  

제품, 고객, 주문, 리뷰 등 핵심 데이터를 얼마나 정확하고 안전하게 옮기느냐가 운영의 연속성을 좌우합니다.

카페24도 엑셀이나 CSV를 통해 일부 데이터 이전은 가능하지만, 데이터 구조가 복잡해 대량 마이그레이션에는 다소 한계가 있습니다.

쇼피파이는 CSV 파일 업로드, Admin API, 마이그레이션 전용 앱을 통해 데이터를 유연하게 이전할 수 있습니다.  

개발자가 있는 경우 직접 커스터마이징도 가능하고, 쇼피파이 파트너들이 제공하는 전문 이관 서비스도 다양해 선택의 폭이 넓습니다.

29. 기술 지원

스토어 운영 중 예기치 못한 문제가 발생했을 때, 얼마나 빠르고 정확하게 지원받을 수 있는지는 운영 안정성과 직결됩니다.  

특히 실시간으로 판매가 이루어지는 환경에서는 기술 지원의 대응 속도와 품질이 매우 중요합니다.

카페24는 평일 근무 시간 중심의 고객센터를 운영하고 있어 긴급한 이슈 발생 시 실시간 대응에는 다소 한계가 있습니다.

쇼피파이는 연중무휴 24시간 글로벌 고객 지원 채널을 운영하고 있으며, 채팅과 이메일을 통해 신속하게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쇼피파이 플러스 사용자는 전용 서포트 센터를 별도로 이용할 수 있어 더욱 안정적입니다.  

또한 삼백씨비티 같은 쇼피파이 파트너사와 글로벌 커뮤니티를 통해서도 다양한 방식으로 문제 해결이 가능해, 글로벌 운영 환경에 익숙한 팀에게 큰 도움이 됩니다.

30. 성공 사례

카일리 코스메틱, KITH, 슈프림, 스투시, 올버즈, 패션노바, 글로시에 등 글로벌 브랜드들은 모두 쇼피파이를 사용중입니다. 반편 까페24는 아직까지 이렇다할 성공 케이스를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결론: 어떤 브랜드에 어떤 플랫폼이 맞을까?

한국 브랜들들은 내수에 한계가 해외 진출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습니다. 이에 해외 타깃에 최적화된 쇼피파이로 스토어를 구축하는것을 강력 추천 드리며, 삼백씨비티의 구축 서비스가 궁금하시면 미팅 신청 추시면 자세히 상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추가: 까페24로 국내 사이트만 운영하고 해외는 모두 쇼피파이로 운영 중인 300cbt 클라이언트 리스트

도움이 되셨거나 궁금하신게 있으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 스팸방지를 위해 댓글은 검수 후 노출 됩니다.